안녕하세요. 오늘은 삼성전자 주력 사업과 역사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 사업 및 역사에 대하여
삼성전자 주력 사업
삼성전자는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수원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휴대폰, 노트북, 가전제품, 디스플레이와 통신장비,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제품을 설계하고 제조합니다.
휴대폰 부문
삼성전자는 갤럭시 브랜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으로 유명합니다. 스마트폰 사업은 회사의 전체 매출의 60%와 순이익의 약 70%를 차지하며, 중저가폰 시장에서의 경쟁은 중국 기업들의 성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가전 및 반도체 부문
삼성전자의 제품은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부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TV 부문에서는 LED TV를 중심으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세계 TV 시장에서 1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메모리 반도체에서는 DRAM 시장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3D TV 분야에서도 앞선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파운드리 사업
삼성전자는 반도체 분야에서 파운드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을 통해 다양한 반도체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최신 기술을 적용하여 고객사에 고품질의 반도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역사
삼성은 1938년에 설립된 삼성물산을 기반으로 시작하여 식품과 의복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해왔습니다. 그러나 1969년 박정희 대통령과의 회동을 계기로 전자산업에 진출하게 되었고, 1969년에는 삼성전자가 창립되어 전자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삼성은 LG그룹과 함께 모체 진로그룹의 부도로 위기를 겪었지만, GTV 인수 협상에서 의견차로 인해 실패하였습니다.
1970년에는 삼성NEC가 설립되어 백색가전 및 AV 기기의 생산이 시작되었고, 1974년에는 한국반도체 인수를 통해 반도체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1980년에는 한국전자통신을 인수하여 전자통신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였습니다. 그리고 1983년, 이병철 회장이 DRAM 사업에 진출을 선언하며 메모리 반도체 산업에 진출하였습니다. 삼성은 단기간 내에 세계에서 세 번째로 64K DRAM을 개발하며 기술적 선도를 이끌었습니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한국 내 대기업 중 하나에 불과했지만, 1997년의 경제위기를 계기로 구조조정을 통해 대한민국 내 재계 1위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붐이 일어나면서 2007년에는 휴대폰 시장에서 세계 2위 기업이 되었고,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전략적인 패스트 팔로워 전략을 채택하여 강세를 보였습니다.
2010년에는 메디슨 인수를 통해 헬스케어 사업에도 진출하였고, 스마트폰 시장에 갤럭시 라인업을 선보이며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2013년에는 애플을 추월하여 스마트폰 부분 영업이익에서 1위를 차지하였습니다.
그러나 2014년 이후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경쟁과 수익 악화로 인해 전략을 재조정해야 했습니다. 이는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정체와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이 격화되면서 발생한 문제였습니다. 현재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부문에서 애플에 크게 뒤쳐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로의 사업 다각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마이크로 LED TV 분야에서 89형 제품을 출시하여 기술 혁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LG전자와 영원한 라이벌 관계에 있으며,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은 2017년 5월 Foundry사업부를 출범하고 첨단 공정기술을 기반으로 반도체 생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기반에 고성능, 저전력 반도체를 만드는 사업입니다.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1위 업체인 대만 TSMC를 맹추격 하겠다는 전략으로 2025년 2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공정에서 모바일 칩을 양산, 2026년 고성능 컴퓨팅, 2027년 자동차용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입니다.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광물 가격 및 시세 확인 사이트 알아보자.(구리, 리튬, 금, 은, 니켈, 알루미늄, 우라늄, 납, 주석 등) (4) | 2024.04.17 |
---|---|
유상증자, 무상증자, 유상감자, 무상감자 용어에 대하여 알아보자. (7) | 2024.04.03 |
HLB생명과학 유상증자 권리 발생. 이후 신주인수권R 어떻게 할까? (9) | 2024.03.23 |
후성 유상증자 권리 발생. 신주인수권R 어떻게 할까? (33) | 2024.03.19 |
한국 기업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달 탐사) 참여 기대, NASA 국장 인터뷰 (43) | 2024.03.13 |